메뉴 건너뛰기

제목 공직선거및선거부정방지법상의 호별방문죄의 성립요건
첨부파일

24.공직선거및선거부정방지법상의 호별방문죄의 성립요건

저는 제16대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모지역구 국회의원 후보로 출마하였습니다. 그런데 저는 선거운동기간 중에 지역구 내의 연립주택단지에 들어가서 동 연립주택에 거주하고 있는 유권자인 갑, 을, 병의 집을 차례로 방문하여 “김쫛쫛 후보입니다. 잘 부탁드립니다”라고 지지를 부탁하였습니다. 저는 실제로 방문한 세대수가 3세대에 불과하고 출입문 안으로 들어가지 아니한 채 대문 밖에 서서 인사를 하였을 뿐입니다. 그런데 상대 후보는 저를 선거법위반으로 고발하여 괴롭히고 있습니다. 과연 저는 선거법위반으로 처벌될 가능성이 있는 것일까요?

(1) 지난 4월 13일 있었던 제16대 국회의원 총선거는 많은 국민들의 뜨거운 관심과 성원 속에 무사히 선거가 치러졌습니다. 그러나 실제 선거과정에서는 크고 작은 선거법위반 사례가 많이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하여 고소나 고발에 의한 선거법위반사건이 검찰에 의하여 수사를 받게 되었습니다. 귀하가 질의하고 있는 내용은 호별방문죄에 해당하는 것인가 하는 점이라고 할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말씀드려서 귀하의 행위는 공직선거및선거부정방지법 제106조 제1항 소정의 호별방문죄에 해당합니다.
(2) 공직선거및선거부정방지법 제106조에 규정하고 있는 호별방문의 제한은 다음과 같습니다. 즉 누구든지 선거운동을 위하여 또는 선거기간 중 입당의 권유를 위하여 호별로 방문할 수 없습니다(제1항). 선거운동을 할 수 있는 자는 제1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관혼상제의 의식이 거행되는 장소와 도로·시장·점포·다방·대합실 기타 다수인이 왕래하는 공개된 장소에서 정당 또는 후보자에 대한 지지를 호소할 수 있습니다(제2항). 그리고 누구든지 선거기간 중 연설회 또는 공개장소에서의 연설·대담의 통지를 위하여 호별로 방문할 수 없도록 되어 있습니다(제3항). 동법 제255조 제1항 제17호는 제106호 제1항 또는 제3항의 규정에 위반하여 호별로 방문하거나 하게 한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6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되었습니다.
(3) 공직선거및선거부정방지법 제106조 제1항이 정하는 호별방문죄는 연속적으로 두 집 이상을 방문함으로써 성립합니다. 호별방문죄는 반드시 그 거택 등에 들어가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방문한 세대수가 3세대에 불과하다거나 출입문 안으로 들어가지 아니한 채 대문 밖에 서서 인사를 하였다는 이유만으로 가벌적 위법성이 없다고 할 수 없는 것입니다. 대법원도 이와 같은 취지로 판시하고 있습니다(대법원 2000. 2. 25. 선고, 99도4330 판결 참조).
(4) 따라서 귀하처럼 선거운동기간 중에 연립주택 단지에 들어가서 그곳에 거주하고 있는 유권자 세 사람의 집을 차례로 방문하여 지지를 부탁하였다면 호별방문죄로 처벌되는 것입니다.

번호 제목
126 장병에 대한 인성검사에서 자살예측 결과가 나온 경우 부대의 자살예방의무에 대하여 판단한 사건[대법원 2020. 5. 28. 선고 중요판결]
125 한국토지공사가 협의취득한 토지에 대하여 하자담보책임을 구하는 사건[대법원 2020. 5. 28. 선고 중요판결]
124 임대주택의 임대인이 임대차계약의 갱신을 거절하며 주택의 인도를 구하는 사건[대법원 2020. 5. 28. 선고 중요판결]
123 자동차의 소유권이전등록을 마친 원고가 자동차를 사용·수익하고 있는 피고를 상대로 소유권에 기한 반환청구 및 사용료 상당의 부당이득반환청구를 한 사건[대법원 2020. 5. 28. 선고 중요판결]
122 무자격 세무대리 사건[대법원 2020. 5. 28. 선고 중요판결]
121 부풀린 공사대금을 돌려받았을 때 누락된 법인세 과세소득의 귀속시기에 관한 사건[대법원 2020. 5. 28. 선고 중요판결]
120 카카오톡 계정 프로필 상태메시지 게시 명예훼손 사건[대법원 2020. 5. 28. 선고 중요판결]
119 대규모유통업에서의 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위반행위 사건[대법원 2020. 5. 28. 선고 중요판결]
118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 상당인과관계 인정 여부 사건[대법원 2020. 5. 28. 선고 중요판결]
117 확인대상 발명이 특허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지 여부에 관한 사건[대법원 2020. 5. 28. 선고 중요판결]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