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제목 주류편의점이 무허가 단란주점 영업행위로 처벌되는지 여부
첨부파일

5. 주류편의점이 무허가 단란주점 영업행위로 처벌되는지 여부

저는 건물 지하층을 임차하여 약 45평에 방 11개를 꾸며 놓고는 노래방기계를 설치하여 밀레니엄 주류편의점이라는 상호로 손님들에게 맥주와 안주 등을 판매하고 노래를 부르게 하고 있습니다. 저희 업소에서는 술과 포장된 안주를 판매할 뿐 음식류를 조리하여 판매하지는 않고 있습니다. 그런데 관할구청에서는 제가 무허가 단란주점영업을 하였다는 이유로 경찰에 고발하였습니다. 이런 경우 저는 식품위생관계법령에 의하여 단란주점영업을 무허가로 한 것으로 인정되어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는지요?

귀하가 경영하고 있는 주류편의점은 노래방기계가 설치되어 있고 술도 팔고 있으나 포장된 안주만 판매할 뿐 음식물을 조리하여 판매하지 않고 있으므로 단란주점 영업의 형태에 해당하느냐 하는 것이 문제됩니다.
귀하와 같은 유사한 사안에서 전주지방법원은 피고인이 주류편의점에서 객실을 갖추고 손님들에게 술과 포장된 안주를 판매하였다 하더라도 음식류를 조리하여 판매한 사실이 없는 이상 이를 두고 단란주점 영업을 한 것으로 볼 수 없다고 하여 무죄를 선고하였습니다(전주지법 1998. 10. 30. 선고, 98노681, 936 판결).
식품위생법시행령 제7조 제8호는 식품접객업의 세부 종류를 휴게음식점 영업, 일반음식점 영업, 단란주점 영업, 유흥주점 영업으로 구분하여 각 영업의 범위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단란주점 영업에 관하여는 ‘주로 주류를 조리·판매하는 영업으로서 손님이 노래를 부르게 하는 행위가 허용되는 영업’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대법원은 식품위생법시행령이 단란주점 영업에 관하여 규정한 ‘주로 주류를 조리·판매하는 영업’이라는 표현에서의 ‘주로 주류를’이라는 말은 주로 주류를, ‘부수적으로 음식류 등을’이라는 의미로 보아야 하고, ‘조리’라는 말은 법문상 표현되어 있지는 않지만 그 내용에 포함된 것으로 보이는 ‘음식류’를 서술하는 것이지 ‘주류’를 서술하는 것은 아니라고 해석함이 상당하다고 판시하고 있습니다(대법원 1999. 5. 25. 선고, 98도3964 판결).
그리고 대법원은 식품위생법시행규칙이 규정한 시설기준은 식품접객업 허가를 받거나 영업을 계속하기 위해서 갖추어야 할 기준으로서 그 기준에 적합하지 아니하면 영업허가를 받을 수 없고, 허가를 받은 후에 그 기준을 위반하면 허가취소 등의 사유가 되며 형사처벌의 대상이 될 뿐이지, 식품접객업의 시설기준에 적합하지 아니하다고 하여 식품접객업에 해당하지 아니한다고 볼 필연적인 관계는 없고, 오히려 식품접객업의 시설기준을 위반한 영업자에 대하여 형사처벌을 하는 것은 그 기준에 적합하지 않더라도 식품접객업에 해당됨을 전제로 한 것으로 볼 여지도 있다고 판시하고 있습니다.
대법원은 결론적으로 식품위생법시행령에서 단란주점 영업에 관하여 ‘주로 주류를 조리·판매하는 영업으로서 손님이 노래를 부르게 하는 행위가 허용되는 영업’은 단란주점 영업에 해당한다는 취지이지 반드시 음식류를 조리하여 판매하여야만 단란주점 영업에 해당한다는 취지로 볼 것은 아니다라고 유권해석을 내리고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귀하가 운영하고 있는 밀레니엄 주류편의점에서 비록 음식류를 조리하여 판매하지는 않고 있으나, 술과 포장된 안주를 판매하고 노래방기계를 설치하여 노래를 부르게 하고 있다면 이는 단란주점 영업행위에 해당하고 단란주점 영업허가를 받지 않았다면 식품위생법 위반으로 형사처벌 대상이 됩니다.
이러한 결론은 위에서 말씀드린 바와 같은 전주지방법원에서 선고한 판결과는 정반대의 입장이지만, 위 전주지방법원의 판결은 대법원에서 파기환송되었고 대법원의 판례가 귀하의 주류편의점 영업형태는 무허가 단란주점 영업에 해당한다고 판시하였으므로 대법원 판례의 기속력에 비추어 형사처벌 대상이 되는 것으로 보아야 하는 것입니다.
다만, 식품위생법시행령에서 규정하고 있는 단란주점 영업의 개념 정의에서 문면상 애매한 점이 있어 이러한 해석상 혼란이 있는 것이므로 보건복지부에서는 앞으로 이러한 식품위생법시행령을 명확하게 개정하여야 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번호 제목
116 유아 인도의무에 대한 이행명령 사건[대법원 2020. 5. 28.자 중요결정]
115 구분소유자가 집합건물의 공용부분을 정당한 권원 없이 배타적으로 점유·사용하는 경우 부당이득이 성립하는지 여부가 문제된 사건[대법원 2020. 5. 21. 선고 전원합의체 판결]
114 금전채권자가 채무자를 대위해서 부동산에 관한 공유물분할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는지 여부가 문제된 사건[대법원 2020. 5. 21. 선고 전원합의체 판결]
113 공유물의 소수지분권자가 공유물을 독점적으로 점유하는 다른 소수지분권자를 상대로 방해배제와 인도를 청구하는 사건[대법원 2020. 5. 21. 선고 전원합의체 판결]
112 자동차보험 구상금 분쟁심의에 관한 상호협정 시행규약 제45조의 적용범위[대법원 2020. 5. 14. 선고 중요판결]
111 임차인에게 불법점유로 인한 손해배상을 구하는 사건[대법원 2020. 5. 14. 선고 중요판결]
110 전화 통화 내용을 기초로 처방전을 작성·교부한 사건[대법원 2020. 5. 14. 선고 중요판결]
109 사업주가 취업활동을 할 수 있는 체류자격을 가지지 않은 외국인을 파견받아 자신을 위한 근로에 종사하게 한 사건[대법원 2020. 5. 14. 선고 중요판결]
108 임대차계약의 방법으로 장소제공의 성매매알선행위를 수회 한 사건[대법원 2020. 5. 14. 선고 중요판결]
107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제9조 제1항 제7호의 비공개 대상 정보에 해당하는지 여부 등이 문제된 사건[대법원 2020. 5. 14. 선고 중요판결]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