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제목 확정판결에 기한 채권의 소멸시효
첨부파일

1. 甲은 13년 전 동네 이웃인 乙에게 금 500만원을 빌려주었는데 乙이 이를 갚지 않아 변제기로부터 2년이 지나고 나서 乙을 상대로 대여금청구소송을 제기하여 승소판결을 받아 이것이 확정되었다. 그러나 乙에게는 재산이 없어서 집행을 하지 못하고 있었는데 세월이 지나 이제 곧 확정된 판결의 소멸시효기간인 10년이 다되어 가고 있다. 甲은 어떤 조치를 취할 수 있는가?

답 : 판례는 “확정판결에 기한 채권의 소멸시효기간인 10년의 도과가 임박하여서 강제집행의 실시가 현실적으로 어렵게 되었다면, 그 이전에 강제집행의 실시가 가능하였던가의 여부에 관계없이 시효중단을 위하여는 동일내용의 재판상 청구가 불가피하다고 할 것이므로 확정판결이 있었다고 하더라도 시효중단을 위한 동일내용의 소에 대하여 소멸시효완성 내지 중복제소금지 규정에 위반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대법원 1987. 11. 10. 선고 87다카1761판결)라고 하여 확정판결을 받았더라도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는 동일한 내용의 재판상청구를 다시 할 수 있다고 판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甲은 이미 받은 승소판결이 확정된 날부터 10년이 경과되기 전에 시효중단을 위하여 다시 소를 제기하여 승소판결을 받음으로써 새로이 10년의 소멸시효기간이 진행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1536 강제집행 신청 취하 후 피신청인을 상대로 그때까지 지출한 비용에 관한 집행비용액확정결정을 구한 사건
1535 징수처분과 독촉처분 취소소송의 제소기간 경과 여부가 문제된 사안
1534 부가가치세 매출세액에서 공제되는 매입세액 해당 여부가 문제된 사안
1533 관세법 제188조 단서의 부분적 제품과세 적용 여부가 문제된 사안
1532 종합부동산세액에서 공제될 재산세액의 계산에 관한 산식을 정한 구 종합부동산세법 시행령 조항의 효력이 문제된 사건
1531 모발감정결과 필로폰 성분이 검출되자 필로폰 투약 범행으로 기소된 사안
1530 피고인들 중 1인이 피해자를 폭행하고 나머지는 이를 휴대전화로 촬영하거나 지켜본 것이 공동폭행에 해당하는지 문제된 사건
1529 다른 사람에게 접근매체를 양도할 의사로 계좌를 개설하면서 금융기관 업무담당자에게 이에 관한 사항을 허위로 답변한 행위가 위계에 의한 업무방해죄로, 범죄에 이용될 것을 알면서 접근매체를 대여·보관한 행위 등이 전자금융거래법위반죄로 기소된 사건
1528 의사인 피고인이 간호사에게 환자 감시 업무를 맡기고 수술실을 이탈한 후 피해자인 환자에게 심정지가 발생하여 사망한 사건
1527 점유취득시효 완성 후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 소멸시효 진행 여부가 문제된 사건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