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제목 확정판결에 기한 채권의 소멸시효
첨부파일

1. 甲은 13년 전 동네 이웃인 乙에게 금 500만원을 빌려주었는데 乙이 이를 갚지 않아 변제기로부터 2년이 지나고 나서 乙을 상대로 대여금청구소송을 제기하여 승소판결을 받아 이것이 확정되었다. 그러나 乙에게는 재산이 없어서 집행을 하지 못하고 있었는데 세월이 지나 이제 곧 확정된 판결의 소멸시효기간인 10년이 다되어 가고 있다. 甲은 어떤 조치를 취할 수 있는가?

답 : 판례는 “확정판결에 기한 채권의 소멸시효기간인 10년의 도과가 임박하여서 강제집행의 실시가 현실적으로 어렵게 되었다면, 그 이전에 강제집행의 실시가 가능하였던가의 여부에 관계없이 시효중단을 위하여는 동일내용의 재판상 청구가 불가피하다고 할 것이므로 확정판결이 있었다고 하더라도 시효중단을 위한 동일내용의 소에 대하여 소멸시효완성 내지 중복제소금지 규정에 위반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대법원 1987. 11. 10. 선고 87다카1761판결)라고 하여 확정판결을 받았더라도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는 동일한 내용의 재판상청구를 다시 할 수 있다고 판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甲은 이미 받은 승소판결이 확정된 날부터 10년이 경과되기 전에 시효중단을 위하여 다시 소를 제기하여 승소판결을 받음으로써 새로이 10년의 소멸시효기간이 진행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1551 집합건물의 전유부분만 매수한 제3자가 분양자를 상대로 대지지분에 관한 소유권 이전등기절차 이행을 구하는 사건
1550 폭행·협박 선행형의 강제추행죄에서 '폭행 또는 협박'의 의미
1549 국가가 공무원에게 지급하는 수당, 성과상여금 등을 공무직 근로자인 국도관리원들에게 지급하지 않은 것이 근로기준법 제6조를 위반한 차별적 처우에 해당하는지 여부
1548 학부모의 지속적인 담임교체 요구가 교육활동 침해행위인 반복적인 부당한 간섭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사건
1547 농지보전부담금 감면규정을 적용하지 않은 채 부과처분을 한 사안
1546 집단에너지사업자를 재산세 분리과세대상 토지 규정에서 정한 전기사업자로 볼 수 있는지 여부가 문제된 사건
1545 지방자치단체장의 수행비서가 상급자로부터 수행활동비 명목으로 매월 정기적으로 일정한 돈을 지급받은 행위가 「부정청탁 및 금품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제8조 제1항에서 금지하는 공직자 등의 금품 수수에 해당하는지가 문제된 사건
1544 '공포심이나 불안감을 유발하는 문언 등을 반복적으로 상대방에게 도달하게 하는 행위' 해당 여부에 관한 사건
1543 박사학위 논문 예비심사용 자료를 지도교수 등 제3자가 대작하여 논문심사업무를 방해했다는 공소사실로 기소된 사건
1542 지방자치단체가 임대사업자를 상대로 공공지원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협약을 통한 매매계약이 체결되었다고 주장하면서 소유권이전등기를 청구하는 사건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