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제목 다른 사람의 돈을 자신의 명의로 은행에 예금해 놓은 사람이 위탁자의 반환요구를 거부한 경우의 형사책임
첨부파일

48. 다른 사람의 돈을 자신의 명의로 은행에 예금해 놓은 사람이
위탁자의 반환요구를 거부한 경우의 형사책임

문 ● 저의 아버지인 A는 B에게 5억원의 현금을 보관시켜 놓았는데 B는 위 돈을 자신의 명의로 은행에 예금시켜 놓았습니다. 저는 이런 사실을 뒤늦게 알고 B에게 위 돈의 반환을 요구하였습니다. B는 금융실명제를 이유로 위 돈의 반환을 거부하였습니다. 저는 B를 상대로 횡령죄로 형사고소를 하였습니다. 이러한 경우 과연 B에 대한 형사처벌이 가능한지 알고 싶습니다.

답 ● (1) 금융실명제가 실시되어 다른 사람의 명의로 예금을 할 수 없도록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이를 위반하여 다른 사람 명의로 예금을 해놓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자신의 명의로 예금을 해놓고 있는 사람이 돈의 실제 주인으로부터 돈의 반환을 요구받고 이를 거절하는 경우 횡령죄가 성립하느냐 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2) 횡령죄에 있어서 보관이라 함은 재물이 사실상 지배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법률상의 지배 처분이 가능한 상태를 모두 가리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타인의 금전을 위탁받아 보관하는 자는 보관방법으로 이를 은행 등의 금융기관에 예치한 경우에도 보관자의 지위를 갖는 것이라 할 것입니다(대법원 1983. 9. 13. 선고, 82도75 판결 참조).

(3) 이러한 법이론에 의하면 귀하의 아버지인 A가 살아계실 때에 B에게 5억원의 현금을 보관시켜 놓았고, 이러한 5억원의 현금을 B가 자신의 명의로 예금을 해놓았다면, 위 돈 5억원은 B가 법률상 지배 처분할 수 있는 예금의 형태로 보관하고 있는 것이므로 B는 “타인의 재물을 보관하는 지위”에 있다고 보아야 할 것입니다.

(4) 금융실명거래및비밀보장에관한법률이 시행된 이후에는 금융기관으로서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실명확인을 한 예금명의자만을 예금주로 인정할 수밖에 없으므로(대법원 1998. 6. 12. 선고, 97다18455 판결 참조), B 명의의 예금구좌로 은행에 입금된 돈은 B만이 법률상 지배 처분할 수 있을 뿐이고 A의 상속인인 귀하로서는 위 예금의 예금주가 A또는 A의 상속인인 귀하라고 주장할 수는 없습니다.

(5) 그러나 보관을 위탁받은 위 돈이 B의 소유로 된다거나 A의 상속인인 귀하가 위 돈의 반환을 구할 수 없는 것은 아니므로, B가 이를 함부로 인출하여 소비하거나 A의 상속인인 귀하로부터 반환요구를 받았음에도 이를 영득할 의사로 반환을 거부하는 경우에는 횡령죄가 성립한다고 보아야 할 것입니다(대법원 2000. 8. 18. 선고, 2000도 1914 판결 참조). 따라서 B는 횡령죄로 처벌될 것입니다.
 

번호 제목
1140 원고로부터 레미콘운반도급을 받은 수급인이 자신의 직원을 통해 수급인 소유의 레미콘차량을 이용하여 원고의 레미콘을 공사현장으로 운반하던 중 공사현장으로부터 약 100m 떨어진 곳에서 레미콘차량을 세척하면서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였고, 피고가 이를 이유로 조업정지 45일 처분을 하자 원고가 그 취소를 구한 사안
1139 구 고용보험법(2020. 5. 26. 법률 제1732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3조 및 구 고용보험법 시행령(2016. 12. 30. 대통령령 제2773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6조 제1항 제1호에 따른 고용촉진 지원금을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지급받았는지 여부가 문제된 사건
1138 당초 공소사실과 다른 공소사실에 관한 직권 판단과 공소장변경의 관계
1137 협박죄의 성립 여부 및 범위에 대한 사건
1136 세무공무원 작성 심문조서의 증거능력에 대한 사건
1135 강간 사건에서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 판단 기준이 되는 경험칙의 의미와 내용이 문제된 사안
1134 선불식 할부거래업자의 선수금 등 자료 허위 제출이 문제된 사건
1133 피고인이 인터넷 포털사이트 뉴스 댓글 란에 피해자에 대하여 “국민호텔녀”, “퇴물” 등의 표현을 사용하여 모욕하였다고 기소된 사안
1132 부동산 담보신탁계약 해지 시 법률관계가 문제된 사건
1131 보험계약자가 피보험자를 상대로 주계약에 따른 채무의 부존재 확인을 구한 사건에서, 보증보험회사가 보험금을 지급하기 전이라는 사정이 확인의 이익 유무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지가 문제된 사안
SCROLL TOP